주요사항 | 세부내용 |
기후 | - 대륙성 기후 (* 샤블리 : 서늘한 대륙성 기후 ~ 남쪽 : 온화한 대륙성 기후) - 피노누아는 그레이 롯에 취약하여, 개화/수확기에 비 피해가 있을 수 있음. - 샤블리 지역은 봄서리와 여름 우박 피해가 있을 수 있음. |
등급 명칭 | - 마을 단위 : 평지 또는 언덕 하부 - 그랑 크뤼 / 프리미에 크뤼 : 언덕 중간 경사면 |
포도 품종 (레드) | 1) 피노누아 (Pinot noir) : 산도가 높고, 탄닌은 낮은~중간. : 어릴 때 붉은 과일 -> 숙성되며 흙, 야생동물, 버섯 : 포도송이 전체를 사용하는 방식이 증가하고 있음 2) 가메 (Gamay) : 완숙된 베리 과일, 낮은 탄닌 |
포도 품종 (화이트) | 1) 샤르도네 *북부 샤블리 : 무게감이 낮고, 강철같은 풍미, 높은 산도 *코트도르 : 환상적인 복합미와 풍부한 표현 *마콩 : 바디가 무겁고 잘 익은 과일 풍미 : 배럴통 발효 / 배럴통 숙성, 유산발효, 숙성 중 앙금(Lees) 활용 등 2) 알리고테 (Aligote) : 산도가 높은 중립적 와인 |
주요지역 [샤블리] |
- 샤르도네만 허용됨. - 서리 피해가 심해, 살수기와 난방장치 활용 |
주요지역 [코트 도르 - 코트 드 뉘] |
■ 코트 드 뉘 (Cote de Nuits) - 피노누아 와인이 다수 - 그랑 크뤼(Grands Crus) 레드 [*하나(*알록스 코르통-레드)를 제외한 모두 코트 드 뉘에 위치] 1) 제브레 상베르탱 (Gevrey Chambertin) 2) 부조 (Vougeot) 3) 본 로마네 (Vosne-Romanee) 4) 뉘 생 조르주 (Nuits-Saint-Georges) |
주요지역 [코트 도르 - 코트 드 본] |
■ 코트 드 본 (Cote de Beaune) - 샤르도네 생산지로 유명 - 그랑 크뤼(Grands Crus) 화이트 [*하나를 제외한 모두 코트 드 본] 1) 알록스 코르통 (Aloxe-Corton, 레드/화이트) 2) 본 (Beaune) 3) 포마르 (Pommard, 레드) 4) 볼네 (Volnay, 레드) 5) 뫼르소 (Meursault) 6) 퓔리니 몽라셰 (Puligny-Montrachet) 7) 샤사뉴 몽라셰 (Chassagne-Montrachet) |
기타 | ■ 코트 드 뉘-빌라주 (Cote de Nuits-Villages) : 레드/화이트 ■ 코트 드 본-빌라주 (Cote de Beaune-Villages) : 레드만. ■ 부르고뉴 오트 코트 드 뉘 (Bourgogne Hautes Cotes de Nuits), 부르고뉴 오트 코트 드 본 (Bourgogne hautes Cotes de Beaune) |
주요지역 [코트 살로네즈] |
- 코트 살로네즈 (Cote Chalonnaise) : 포도밭 고도가 높아 늦게 수확. 1) 룰리 (Rully) : 화이트, 스파클링 와인 생산의 중심지 2) 메르퀴레 (Mercurey) : 명성 높은 레드와인 3) 지브리 (Givry) : 레드와인 3) 몽타니 (Montagny) : 화이트만 생산 5) 부르고뉴 코트 샬로네즈 (Bourgogne Cote Chalonnaise) |
주요지역 [마코네] |
- 마코네 (Maconnais) * 화이트 : 샤르도네 * 레드 : 가메 중심 1) 마콩 (Macon) : 레드, 화이트(*유산발효 스타일) 2) 마콩 빌라주 (Macon Villages) 3) 푸이 퓌세 (Pouilly-Fuisse) 4) 생-베랑 (Saint-Veran) 3)4) → "화이트" 완숙된 열대 과일, 핵과류 풍미. 배럴통에서 숙성되어 질감이 개선되고 풍미가 풍부함. |
■ 보졸레
품종 | - 가메 (Gamay) : 이른 발아와 숙성, 라즈베리, 체리와 같은 과일향 탄닌과 바디감이 약함. - 전통적인 가지치키 방식 : 고블레 (Gobelet) * 정수리 트레이닝 + 단과지 가지치기 |
등급 명칭 | 1. 보졸레 (Beaujolais) : 탄산 침용 / 부분 탄산 침용을 활용 * 보졸레 누보 (Beaujolais Nouveau) : 일찍 마시기 좋은 스타일 : 11월 세번째 목요일 시판 ~ 이듬해 8월 31까지 → 레드베리, 키르슈, 바나나, 계피 등 향신료 풍미 탄닌과 바디가 가벼움 2. 보졸레 빌라주 (Beaujolais Villages) 3. 보졸레 크뤼 (Beaujolais Crus) ① 브루이 ② 모르공 ③ 플뢰리 ④ 물랭-아-방 |
※ 버건디 등급 명칭 체계
지역 등급 명칭 (Regional Appellations) |
- 부르고뉴 루즈 (Bourgogne Rouge) - 부르고뉴 블랑 (Bourgogne Blanc) - 부르고뉴 오트 코트 드 뉘 (Bourgogne Hautes Cotes de Nuits) - 부르고뉴 오트 코트 드 본 (Bourgogne Hautes Cotes de Beaune) - 부르고뉴 코트 샬로네즈 (Bourgogne Cote Chalonnaise) - 마콩 (Macon, 레드/화이트) 마콩 빌라주 (Macon Villages, 화이트만) |
코뮌 등급 명칭 (Commune Appellations) = 빌라주(Village) |
- 샤블리(Chablis), 제브레 샹베르탱(Gevrey-Chambertin) 등 "코뮌(빌라주)" 이름만 표기 (*마을 등급 명칭) |
프리미에르 크뤼 (Premiers Crus) 그랑 크뤼 (Grands Crus) |
- 마을 등급 명칭보다 상위의 등급. - 프리미에르 크뤼 (*총 600개 이상, 10% 수준) - 그랑 크뤼 (*총 33개, 1% 수준) |
'와인공부 > WSET Lv3.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SET Lv.3) 18. 루아르 밸리 (The Loire Valley) (1) | 2021.09.04 |
---|---|
WSET Lv.3) 17. 알자스 (Alsace) (0) | 2021.09.01 |
WSET Lv.3) 13. 보르도 (Bordeaux) (0) | 2021.08.08 |
WSET Lv.3) 9. 레드 와인과 로제 와인 양조 (0) | 2021.04.25 |
WSET Lv.3) 8. 화이트 와인과 스위트 와인 양조 (0) | 2021.04.25 |